맨위로가기

친위대 본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위대 본부(SS-Hauptamt)는 나치 독일의 친위대(SS)를 관리, 감독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1931년 친위대-청(SS-Amt)으로 시작하여 1935년 친위대 본부로 승격되었으며, 초창기에는 일반 친위대, 강제 수용소, 특무부대 등을 감독했다. 이후 조직 확대와 기능 분화를 거쳐 무장친위대 대원 모집 및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역할이 축소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친위대 본부 구성원들은 전쟁 범죄와 반인륜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치 친위대 - 질서경찰
    질서경찰은 나치 독일의 경찰 조직으로, 친위대에 통합되어 이념적 반대자 박해와 홀로코스트에 가담했으며,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국방군에 인력을 제공하다 독일 패전 후 해체되었다.
  • 나치 친위대 - 하인리히 힘러
    하인리히 힘러는 나치 친위대 사령관으로서 홀로코스트를 주도하여 수백만 명의 유대인 학살에 책임이 있으며, 1945년 연합군에 체포되기 전 자살했다.
  • 1935년 설립 - 캠프 데이비드
    캠프 데이비드는 메릴랜드주 캐탁틴 산맥에 위치한 미국 대통령의 별장으로, 1938년 휴양 시설로 개장 후 1942년 대통령 별장으로 지정되었으며, 주요 국제 회담 및 외교 협상 장소로 활용되어 왔다.
  • 1935년 설립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은 기쿠치 칸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를 기려 제정한 일본의 권위 있는 문학상으로, 신인 및 중견 작가의 단편 및 중편 소설을 대상으로 매년 두 차례 시상하며, 수상자에게는 상금과 회중시계가 수여되고 문예춘추에 수상작이 게재되지만, 저널리즘적 성격과 심사 과정, 심사위원 구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 독일의 군사에 관한 - 질서경찰
    질서경찰은 나치 독일의 경찰 조직으로, 친위대에 통합되어 이념적 반대자 박해와 홀로코스트에 가담했으며,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국방군에 인력을 제공하다 독일 패전 후 해체되었다.
  • 독일의 군사에 관한 - 프리츠 바이에를라인
    프리츠 바이에를라인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독일 군인으로, 하인츠 구데리안과 에르빈 롬멜의 참모로 북아프리카, 동부, 서부 전선에서 활약하며 기갑교도사단장 등을 역임했고 철십자훈장 기사십자장과 떡갈잎 및 검을 수여받았으며, 종전 후에는 전쟁 포로로 수감되었다가 석방되어 군사 관련 저술 활동을 했다.
친위대 본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개요
친위대 깃발
친위대 로고
친위대 본부 차량 지휘 깃발
친위대 본부 차량 지휘 깃발
명칭친위대 본부
약칭SS-HA
관할
국가독일
점령하 유럽
본부 위치프린츠-알브레히트-슈트라세, 베를린
조직
설립일1935년 1월 30일
해산일1945년 5월 8일
전신SS관청
SS상급지도구역}}
상위 기관친위대
하위 기관일반친위대(1940년 이전)
친위대 특무부대(1940년 이전)
친위대 해골부대(1940년 이전)
지휘부
수장하인리히 힘러 (1935년–1945년)
직책친위대 본부장
역대 본부장쿠르트 비트예 (1934년–1935년)
아우구스트 하이스마이어 (1935년–1939년)
고틀로프 베르거 (1939년–1945년)

2. 역사

1930년대 후반, 친위대 본부(SS-HA)는 친위대 내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기관이 되어 준군사조직의 거의 모든 측면을 관리했다. 여기에는 친위대 장교 학교, 체력 훈련, 통신, 친위대 주둔지, 물류 및 지원 등이 포함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친위대 특별작전부대''는 1940년에 무장친위대로 급속히 확장되었다. 그러나 친위대 본부는 비대해진 조직을 모두 관리할 수 없게 되자, 전쟁 전 권한의 상당 부분을 친위대 지도본부(SS-Führungshauptamt; SS-FHA)와 국가보안본부 등 ''국민친위대''의 주요 사무실에 넘겨주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친위대 본부는 고틀로프 베르거 본부장 아래에서 친위대 대원의 모집, 확보, 훈련, 교육을 담당했다.[4] 베르거는 무장친위대 확장을 위해 국민친위대 구성원을 무장친위대와 친위대 해골부대에 강제 징집했는데, 이는 친위대 지도본부와의 관할권 중복 및 마찰을 야기했다.[5] 친위대 지도본부는 무장친위대가 소수 정예 부대가 되기를 원했지만, 베르거와 하인리히 힘러아돌프 히틀러가 최대한 많은 사단을 원한다는 것을 알고 질 낮은 부대라도 양성해야 했다. 높은 사상자 발생률과 무장친위대 야전 사단 확장을 위해 나치 강제 수용소절멸 수용소 복무에 적합하다고 여겨진 국민친위대 구성원이 강제 징집되었고, 1942년부터는 다른 친위대 조직 인력도 무장친위대로 징집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31년, 친위대(SS)는 국민친위대(일반 친위대)의 여러 부대를 감독하는 친위대 본부 역할을 하기 위해 '친위대-청(SS-Amt)'을 창설했다. 1933년 나치당 집권 후, 친위대-청은 ''친위대 상급지도자구역''(SS-Oberführerbereichen)으로 개칭되었고 나치 독일 내 모든 친위대 부대를 지휘하게 되었다.[1] 초대 지휘관은 에른스트 바흐(1932년 12월~1933년 6월)였고, 이후 지크프리트 자이델-디트마르슈(1933년 6월~1934년 2월), 쿠르트 비트제(1934년 2월~)가 임명되었다.[1]

1935년 1월 30일, 이 기관은 친위대-본부(SS-HA)가 되었다.[1][2][3] 이 조직은 국민친위대, 강제 수용소, 친위대 특별작전부대(특수 목적 부대), 국경 경비대 연대를 감독했다.[1]

하인리히 힘러1932년 12월에 친위대의 다양한 사무를 처리하는 부국으로서 "친위대부"(SS-Amt)를 창설했다.[2] 이후 친위대 기구에 본부(Hauptamt) 제도가 도입된 후, 친위대부(SS-Amt)가 친위대 본부(SS-Hauptamt)로 승격되었다. 당초에는 친위대 대원의 인사, 친위대 재판소, 강제 수용소, 일반 친위대, 정치 예비대(친위대 특무 부대, 무장 친위대가 되는 조직), 국경 경비대, 친위대 사관 학교, 대원의 훈련 및 복지 등을 담당했다.[1][3]

2. 2. 친위대 본부로의 개편 (1935)

1931년, 친위대는 국민친위대 (일반 친위대)의 여러 부대를 감독하는 친위대 본부 역할을 하기 위해 친위대-청(SS-Amt)을 창설하였다. 1933년 나치당이 집권한 후, 친위대-청은 ''친위대 상급지도자구역''(SS-Oberführerbereichen)으로 개칭되었고 나치 독일 내 모든 친위대 부대를 지휘하게 되었다. 1935년 1월 30일, 친위대-청(SS-Amt)은 '친위대 본부(SS-HA)'로 승격되었다.[1][3]

초기에 친위대 본부는 친위대의 "본부"로서, 친위대 대원의 인사, 친위대 재판소, 강제 수용소, 일반 친위대, 정치 예비대 (후에 친위대 특무 부대를 거쳐 무장 친위대가 되는 조직), 국경 경비대, 친위대 사관 학교, 대원의 훈련, 대원의 복지 등 광범위한 분야를 담당했다.[1][3]

쿠르트 비트제 본부장이 동성애 의혹으로 해임된 후, 아우구스트 하이쓰마이어가 본부장이 되면서 친위대 본부의 규모는 최대가 되었다.

2. 3. 권한 축소와 역할 변화

1930년대 후반, 친위대 본부의 권한은 계속 커져 친위대 내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기관이 되었고, 준군사조직의 거의 모든 측면을 관리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친위대 장교 학교(친위대 융커 학교), 체력 훈련, 통신, 친위대 주둔지, 물류 및 지원 등이 포함되었다.[1] 그러나 업무가 너무 방대해지면서 각 부서의 독립이 추진되었다.

1939년 6월, 친위대 본부 제2부(인사부)가 친위대 인사 본부로, 제3부(법무부)가 친위대 법무 본부로 독립했다. 1940년에는 친위대 특무부대가 무장친위대로 확장되면서, 군사 작전 및 훈련 기능을 담당하는 친위대 지도본부(SS-Führungshauptamt, SS-FHA)가 창설되었다. 1940년 9월, 제1부(작전 지도)·제7부(경무부)·제11부(통신부)·제12부(공급부)·제13부(교육부)가 친위대 작전 본부로 독립했다. 1942년 2월, 제4부(관리부)와 제9부(조달부)가 친위대 경제 관리 본부로 독립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고틀로프 베르거 본부장 아래에서 친위대 대원의 모집, 확보, 훈련,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역할이 축소되었다.[4][3] 특히 무장친위대 확장을 위해 일반 친위대원을 강제 징집하는 데 관여했다.

2. 4. 전후 처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친위대 본부(SS-HA) 구성원들은 전쟁 범죄와 반인륜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1] 전 수장이었던 고틀로프 베르거는 1945년 5월에 체포되어 1949년에 재판을 받았다.[1] 뉘른베르크 재판의 일부로 진행된 베르거와 그의 공동 피고인들에 대한 재판은 1948년 1월 6일에 시작되어 1949년 4월 13일에 종료되었다.[1] 베르거는 25년형을 선고받았지만, 재판을 기다리면서 구금되었던 4년은 형량에서 감면되었다.[1] 그는 1951년에 란츠베르크 교도소에서 석방되었다.[1]

3. 조직 구조

1940년 친위대 본부(SS-HA)는 11개 부서를 가지고 있었으며, SS국가지도자 개인 참모에 기술적으로 종속되었지만 사실상 자율적으로 운영되었다. 이후 조직 개편을 통해 본부장과 부서별 책임자가 변경되었다. 1939년에는 아우구스트 하이스마이어 SS대장이 본부장을, 울리히 그라이펠트 SS중장이 관방장을 맡아 13개 부서로 운영되었다. 1944년에는 고틀로프 베르거 SS대장이 본부장을 맡았으며, A, B, C 3개 부 아래 여러 과를 두는 형태로 조직이 변경되었다.

3. 1. 1940년 조직

1940년, 친위대 본부(SS-HA)는 인력 할당, 물품, 인사 이동 및 승진과 같은 친위대 행정 문제를 담당했다.

SS-HA는 11개의 부서(Ämter 또는 Amtsgruppen)를 가지고 있었다.

부서명(독일어)부서명(한국어)
Amt Zentralamt중앙 사무소
Amt Leitender Arzt beim Chef SS-HASS-HA 책임 의사
Amt Verwaltung행정
Amt Ergänzungsamt der Waffen-SS무장 친위대 증원
Amt Erfassungsamt징발
Amt für Weltanschauliche Erziehung이념 교육
Amt für Leibeserziehhung체육
Amt für Berufserziehung직업 훈련
Amt Germanische Leitstelle게르만 통제
Amt Germanische Ergänzung게르만 징집
Amt Germanische Erziehung게르만 교육



친위대 본부는 기술적으로 SS국가지도자 개인 참모에 종속되었지만, 실제로는 자율성을 유지했다.

3. 2. 1939년/1944년 조직 (일본어 자료 참고)

1939년1944년


4. 역대 본부장

순서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재임 기간
1
쿠르트 비트예1934년 2월 12일1935년 5월 14일1년
2--아우구스트 하이쓰마이어1935년 5월 14일1939년 11월 9일4년
3--고틀로프 베르거1939년 12월 1일1945년 5월 8일5년



친위대 본부(SS-Hauptamt)의 차량 깃발

4. 1. 친위대-청 (SS-Amt) 장관

순서이름사진취임일퇴임일
1에른스트 바흐1932년 12월1933년 6월 12일
2지크프리트 자이델-디트마르슈1933년 6월 12일1934년 2월 1일
3쿠르트 비트예1934년 2월 1일[1]1935년 1월 30일[1]


4. 2. 친위대 본부 (SS-Hauptamt) 장관

순서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재임 기간
1쿠르트 비트예1934년 2월 12일1935년 5월 14일1년
2--아우구스트 하이쓰마이어1935년 5월 14일1939년 11월 9일4년
3--고틀로프 베르거1939년 12월 1일1945년 5월 8일5년



참조

[1] 서적 Yerger
[2] 서적 山下
[3] 서적 山下
[4] 서적 Yerger
[5] 서적 山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